ye'smom

한국어의 특질 ( 문법 & 어휘 & 음운 ) 본문

공부/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사

한국어의 특질 ( 문법 & 어휘 & 음운 )

ye’smom 2025. 1. 13. 13:07
반응형

 

 

1. 문법적 특질 📖

한국어는 SOV(주어-목적어-서술어) 구조를 가진 언어입니다. 그러나 문장 구조적으로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이 있습니다.

1️⃣ 자유로운 어순 🔄

한국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순서가 비교적 자유롭습니다.

  • 나는 친구에게 편지를 썼다.
  • 친구에게 내가 편지를 썼다.
  • 편지를 내가 친구에게 썼다.

2️⃣ 후치적 특징 🔗

조사와 어미 같은 문법 형식이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 뒤에 붙습니다.

  • 지하철 역에까지만은 함께 가겠습니다.
  • 우리 아버지는 좋으시었겠사옵나이다.
  • 나는 웃 + (-다가, -게, -고, -은지, -습니다, -어도 ...)

3️⃣ 수식어의 위치 📍

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  • 관형사 + 명사: 어느 장소, 무슨 이유, 새 그릇
  • 관형격 조사 + 명사: 나의 사랑, 국민의 지팡이
  • 부사 + 용언: 아주 잘, 훨씬 자주, 매우 빨리
  • 정도부사 + 부사: 가장 크다, 잘 먹는다

4️⃣ 의문문의 어순 ❓

주어와 서술어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며, 의문사가 문장의 맨 앞에 와야 한다는 제약이 없습니다.

  • 친구들이 어디에서 기다리고 있어?
  • 어디에서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어?
  • 여기에 왜 온 거야?
  • 왜 여기에 온 거야?

5️⃣ 경어법 🙇

경어법은 존경법, 공손법, 겸양법으로 나뉩니다.

  • 존경법: 주체를 높이는 '-시-' 사용 (예: 아버지께서 오셨습니다.)
  • 공손법: 상대방을 높이는 어미 사용 ('하오, 하게, 해요' 등)
  • 겸양법: 자신을 낮추어 표현 (예: '여쭙다', '뵙다')

6️⃣ 성분 생략 📝

문맥상 의미가 분명한 경우,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될 수 있습니다.

  • 뭐해? → (너) 뭐해?
  • 그럼 간다. → (나는) 그럼 간다.
  • (초인종을 누르고) 나야. → (나는) 나야.

2. 어휘적 특질 📚

1️⃣ 다양한 기원 🌏

한국어 어휘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

  • 고유어: 원래부터 사용된 한국어 단어 (예: 하늘, 바람, 나무)
  • 한자어: 한자에서 유래된 단어 (예: 학교, 경제, 문화)
  • 외래어: 외국에서 유입된 단어 (예: 컴퓨터, 버스, 피자)
  • 차용어: 다른 언어에서 빌려온 단어 (예: 담배(포르투갈어), 빵(포르투갈어))

2️⃣ 음운 변화 🌀

자음과 모음의 교체로 다양한 의성어, 의태어가 발달했습니다.

  • 깜깜해요 → 껌껌해요 → 캄캄해요 → 컴컴해요

교체와 하마께 의성어, 의태어가 발달되었습니다.

  • 짤랑 → 잘랑 → 찰랑 → 철렁 → 쩔렁

3️⃣ 친족어휘 발달 👨‍👩‍👧‍👦

한국어는 가족을 부르는 표현이 매우 다양합니다.

  • 아버지: 아비, 아범, 아버님, 애비
  • 어머니: 어미, 어멈, 어머님

3. 음운적 특질 🔊

1️⃣ 다양한 폐쇄음 🏗️

다른 언어에서는 보통 6개(p, b, t, d, k, g)를 사용하지만, 한국어는 9개(ㅂ, ㅃ, ㅍ, ㄷ, ㄸ, ㅌ, ㄱ, ㄲ, ㅋ)를 가집니다.

2️⃣ 평음, 경음, 격음 조직이 발달🎵

한국어는 유성음-무성음 체계 대신, 평음(ㄱ, ㄷ, ㅂ), 경음(ㄲ, ㄸ, ㅃ), 격음(ㅋ, ㅌ, ㅍ) 체계를 가집니다.
다른 언어는 무성음, 유성음이 발달하였습니다.

3️⃣ ㅅ과 ㅆ의 대립 ⚖️

한국어에서는 '사'와 '싸'처럼 ㅅ과 ㅆ의 발음이 명확히 구분됩니다.

4️⃣ 음절말 폐쇄음 ❌

영어에서는 폐쇄음(p, t, k)이 강하게 발음될 수 있지만, 한국어에서는 입을 다물고 끝나는 형식으로 존재합니다.

5️⃣ 장음과 단음 ⏳

'밤(🌙, 장음)'과 '밤(🌰, 단음)'처럼 장단음의 구별이 있습니다.

6️⃣ 음운 변동 🔄

받침이 다음 소리와 만나 변하는 현상이 있습니다.

  • 국밥 → [국빱]
  • 밥물 → [밤물]

7️⃣ 음성 상징어 💬

한국어에는 소리나 움직임을 표현하는 의성어·의태어가 발달했습니다.

  • 모음 교체
    • 까맣다 → 꺼멓다
    • 똥똥하다 → 뚱뚱하다
    • 가득가득 → 그득그득
    • 살금살금 → 슬금슬금
  • 자음 교체: 빙빙 - 삥삥 - 핑핑

✨ 마무리 ✨

한국어는 문법, 어휘, 음운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매력적인 언어입니다! 🥰

이 정리를 통해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을 더 사랑할수 있기를 바랍니다. 🙌

 

 

 

2025년 띠운세 ( 대박 띠, 삼재 띠 )

2025년 갑진년(甲辰年)띠별 운세 알려드려용~ 1. 쥐띠운세: 평탄한 해입니다. 계획한 일이 차근차근 진행되며, 재정적으로도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됩니다.대박 운세: 특별한 대박은 아니지만, 꾸

memango.co.kr

 

 

나의 재물&연애운을 높여주는 보석이 있다! [보석 활용법 총정리]

세상에는 수많은 원석들이 있고 그것을 가공한 보석들이 있습니다.이 모든것은 땅에서 나온 것이고 우리와 똑같이 특정 기운을 가지고 있습니다. 이 기운을 잘 활용하여 나의 연애운, 재물운

memango.co.kr

 

 

[사상체질] 소음인편 (음식, 운동부터 궁합까지)

소음인, 당신의 체질을 알고 건강을 지켜보세요! 🏥사상체질 이번에는 소음인입니다! 🎉 그럼, 본격적으로 소음인 체질에 대해 알아볼까요? 😊🔎 소음인의 특징1️⃣ 외형적인 특징✅ 얼굴이

blog.memango.co.kr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