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e'smom

하브루타 공부법 (한국인에게 제일 어렵다는 하브루타!) 본문

공부/메타인지 & 문해력 & 하브루타 공부법

하브루타 공부법 (한국인에게 제일 어렵다는 하브루타!)

ye’smom 2025. 1. 13. 13:10
반응형

 

한국인에게 제일 어렵다는 하브루타 공부법을 소개합니다! ✨


1. 한국인 vs 외국인 🇰🇷🇺🇸

🔍 여러분은 질문을 쉽게 하시나요?

학교에서 수업을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, 선생님이 말하고 계신 도중 손을 들어 질문한 적이 있나요?

한국인들은 아마 대부분은 "아니요!"라고 대답할 거예요. 🤔

한국에서는 이런 행동이 예의에 어긋나거나, 다른 학생들의 수업을 방해한다고 생각하죠.

그래서 우리는 눈치를 보며 질문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.

그리고 이 패턴은 고등학교, 대학교, 직장에서도 계속 이어집니다. 👀

➡️ 눈에 띄는 걸 두려워하거나, 내 질문이 바보 같아 보일까 봐 걱정하는 경우도 많아요.

🔍 그렇다면 외국인들은?

미국의 워싱턴대를 예로 들어볼까요? 🤓

이곳에서는 교수님의 강의 시간이 길지 않아요.

대신, 학생들의 질문을 받고, 또 다른 학생들이 꼬리를 물어 질문하며 토론이 이어지는 방식이죠.

마치 수업이 아니라 '토론의 장'처럼 느껴질 정도예요! 🎤

어떤 워싱턴대 학생에게 이런 질문을 했어요.

"질문을 많이 하면 다른 학생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을까요?"

그 학생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.

"저는 배우려고 대학에 왔어요. 제가 이해할 때까지 질문해야죠!" 😲

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질문을 많이 하는 이 학생이 분위기를 망치는 걸까요? 🤷‍♂️


2. 왜 우리는 질문을 못할까? 🤔

🔻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

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관계가 수평적이기보다 수직적이에요. 📏

  • 선생님과 학생
  • 부모와 자식
  • 상사와 직원

이런 관계 속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눈치를 보며 질문을 삼가게 되었어요. 😶

 

🔻 정답을 찾는 교육 방식

한국의 교육은 정답을 맞히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. ✅❌

점수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 방식은 우리에게 정답을 강요하는 강박이 되요.

예를 들면 이런 시험 문제들이 있었어요. (  EBS, 하브루타 방송에서 나왔던 문제 !)

몇 가지 예시의 시험을 한번 보겠습니다. 정답을 한 번 맞혀보세요.

1. 대체로 사람들의 일생에서 인생의 꿈과 행복은 언제 결정되는가? (중학교 도덕문제)
① 10대 ② 20대 ③ 30대 ④ 40대 ⑤ 50대
2. <보기>의 장소에서 공통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은 무엇입니까?
<보기> 운동장, 교실, 도서관
① 손 씻기 ② 뛰어다니기 ③ 인사잘하기 ④ 조용히 앉기 ⑤ 오른쪽으로 다니기
3. 꿈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 중에 어려움이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쓰세요. (서술형)
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
답을 생각해 보셨나요?

➡️ 정답: 1. ① 2. ⑤ 3.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.

 

정답을 맞히셨나요? 혹시 의문이 드시는 분이 계신가요? 질문에 화가 나신 분이 있으신가요?

저는 화가 나더라고요. 실제로 출제된 문제들이라 더욱 화가 났습니다.

한국에서 아이들을 가르쳐도 되는지 의문도 들었습니다.

🤯 이게 정답이 있는 문제일까요?

이처럼 우리는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, 정답을 찾는 훈련을 받아왔어요.

그래서 논술이나 토론이 막막할 수밖에 없죠.


3. 하브루타 교육법이란? 🗣️

📖 유대인의 공부법, 하브루타

하브루타(Havruta)는 '공부하는 파트너를 가지는 것'이라는 의미예요.
이스라엘식 교육법이고 밥상머리 교육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유대인들은 법전을 외우는 게 아니라, 토론하고 논쟁하면서 깊이 이해해요. 📚✨

미국 뉴욕에 있는 유대인 명문 대학, 예시바 대학교(Yeshiva University)의 도서관은 한국과 분위기가 완전히 다릅니다.

👉 한국 도서관: 🤫 "쉿! 조용히!"
👉 예시바대 도서관: 학생들이 서로 토론하며 떠드는 공간! 🗣️🔥

💡 하브루타 학습법 3단계

1️⃣ 정해진 답이 없는 주제를 가지고 의견을 나눈다.

2️⃣ 서로의 생각을 말하며 생각의 폭을 넓힌다.

3️⃣ 논쟁을 통해 사회와 세계에 영향을 미칠 관점을 찾는다.

 

➡️ 두 사람이 토론하면, 세 가지 의견이 나온다!

(A의 생각, B의 생각, 그리고 둘이 토론하며 만들어진 새로운 생각!)

이 과정 속에서 우리는 깊이 있는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어요. 🤹


4. 왜 하브루타를 해야 할까? 🤔

📊 학습 효율성 피라미드를 보면,

➡️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'토론'과 '가르치는 것'! 🎯

💡 유대인은 전 세계 인구의 0.2%지만, 노벨상 수상자의 22%를 차지하고 있어요!

이게 바로 하브루타 학습법의 힘 아닐까요? 💡💪


5. 우리도 하브루타를 해보자! 🎙️

📌 적용 예시

👩‍👦 아이: "아마존이 화재가 났대!"

👩 엄마: "그럼 넌 대통령이라고 생각하고, 나한테 설명해볼래?"

👦 아이: "아마존의 화재는 지구 온난화 때문이고, 환경을 보호해야 해요!"

👩 엄마: "과학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는데? 🤔"

👦 아이: "그럼 과학자들은 어디서 고용됐어요?" (논리적 사고 시작!)

 

➡️ 이런 과정이 바로 하브루타 토론! 🎤

 

📌 대화법

위의 대화는 하브루타로 유명한 동영상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.

아이는 12살 남자아이에요! 이 가족은 이런대화가 일상이고 재미라고 합니다.

이처럼 주제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다른시각을 제시하며 토론하는 연습을 하면 우리도 하브루타에 쉽게 적응을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!


6. 하브루타 할 때 주의할 점 ✋

답이 정해진 주제는 피할 것 (예: "밥 먹어야 해!" 대신 "왜 밥을 먹어야 할까?")

수평적인 관계에서 진행 (강요 ❌, 의견 교류 ✅)

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기 (무시하면 토론의 의미가 없어져요!)

작은 점이라도 칭찬하기 (자신감을 키우는 게 중요해요! 😊)


🎉 마무리

하브루타는 단순한 학습법이 아니라, 사고력을 키우고 아이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!

💙 이 세상 모든 부모님들을 온 마음을 담아 응원합니다! 💙

 

 

 

메타인지, 나 자신을 아는 힘 💡

메타인지란 무엇일까요? 🤔메타인지(Metacognition)란 쉽게 말해 '나 자신을 얼마나 잘 아는가' 하는 개념입니다.여러분은 자기 자신을 얼마나 잘 알고 계신가요? 🤷‍♂️ 내가 어떤 사람인지, 스

blog.memango.co.kr

 

 

📖 문해력? 독해력? 차이를 아시나요? 🤔

📖 문해력? 독해력? 차이를 아시나요? 🤔✨ 문해력이란?문해력(文解力)은 글을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. 즉, 글을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의미를 파악하고 해석하는 힘을 뜻하죠. 💡

blog.memango.co.kr

 

 

문해력 / 문해력 키우기 (초등학교 3학년 이후, 아이들은 달라집니다! ✨)

초등학교 3학년 이후, 아이들은 달라집니다! ✨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아이들은 점점 아기스러움을 벗어나고 자신만의 개성과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기 시작합니다. 💡이 시기의 아이들은 편독

blog.memango.co.kr

 

 

 

반응형